🌟2017년 이전 포스팅 모음 🌟/💞Linux OS💞

시스템 파일 시스템의 설정 및 관리

🌟BugsBunny🌟 2012. 9. 21. 14:03

파일 시스템의 종류와 개념

/bin è 시스템 기본 명령어들이 위치한 곳이다.

/boot è 부트 이미지와 부트 맵이 보관된다.

/chroot è 고급 보안 시스템 공간을 사용할 때 만드는 디렉토리이다.

/dev è 모든 시스템의 장치 드라이버들이 보관된 곳이다.

/etc è 시스템의 모든 설정 파일들과 서버데몬들이 위치한다.

/home è 일반 유저의 홈 디렉토리 공간이다.

/lib è 시스템 공유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보관되는 곳이다.

/mnt è 시스템 장치들이 위치한다.

/root è 슈퍼 관리자 전용 홈 디렉토리이다.

/sbin è 시스템 관리 명령어들이 위치한다.

/tmp è 임시 저장이나 테스트 공간으로 사용한다.

/usr è x-window 와 공유바이너리 또는 프로그램 들이 위치한다.

/var è 시스템 로그와 web 디렉토리 메일저장공간이 위치한다.

[root@lalalive*BunnyCOM2*/home]# vi /etc/filesystems

ext3 è Linux 표준 파일 시스템

ext2 è Linux 전통적인 고전 파일 시스템

nodev proc è 모률 가상 로딩 시스템

nodev devpts iso9660 è 씨디 전용 파일 시스템

vfat è win98 파일 시스템

hfs è 네트워크 파일 공유 시스템

[root@lalalive*BunnyCOM2*/home]# vi /etc/fstab è 시스템 마운트 설정 파일

[root@lalalive*BunnyCOM2*/home]# fdisk /dev/hda è 파티션 분할 명령어 < -l 은 리스트>

Command (m for help): p è 파티션 정보 출력 Command (m for help): n è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한다.

Command (m for help): l è 파티션 유형을 선택한다. Command (m for help): d è 기존 파티션을 삭제한다.

Command (m for help): w è 파티션을 저장한다. Command (m for help): q è 저장하지 않고 나간다.

[root@lalalive*BunnyCOM2*/home]# mkfs -help è 리눅스 파일 시스템 만들기

-V : 정보를 자세하게 보여준다.

-t 형태 만들어질 파일 시스템의 형태를 지정한다.

fs-options 이것은 각 특정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풀그림에서 사용되는 옵션을말한다.

-c : 파일 시스템을 만들기 전에 먼저 불량 블럭 검사를 한다.

-l : 파일이름 filename 으로부터 불량 블럭 목록을 읽는다.

-v : 작업 상태, 결과를 자세하게 보여준다.

[root@lalalive*BunnyCOM2*/home]# mkfs -t ext2 /dev/hdb1

[root@lalalive*BunnyCOM2*/home]# mkfs -t ext2 /dev/fd0

[root@lalalive*BunnyCOM2*/home]# fdformat /dev/fd0

[root@lalalive*BunnyCOM2*/home]# mkfs -t ext2 -c /dev/fd0 -v e -c : 블록체크 -v : 진행과정 display

[root@lovetaeyong etc]# mkfs.ext2 /dev/hda

/dev/hda is entire device, not just one partition!

Proceed anyway? (y,n) y è ext2로 포멧 하겠냐고 물어본다.

[root@lalalive*BunnyCOM2*/home]# fsck –help è 리눅스 화일 시스템을 점검하고 수리한다.

-A : /etc/fstab 화일에 표시된 모든 화일 시스템을 한번씩 모두 점검한다.

-R : -A 플래그와 같이 사용될 때 루트 화일 시스템은 제외하도록 한다.

(이미 읽기-쓰기 가능으로 마운트 되어있는 경우)

-T : 시작할 때 제목을 보여주지 않는다.

-N : 실행하지는 말고 어떤 작업을 할 것인지만 보여준다.

-s : fsck 동작을 시리얼화한다. 대화형 모드에서 여러 화일 시스템을 점검할 때유용하다.

-t : 화일시스템유형 점검할 화일 시스템 유형을 지정한다.

-a : 물 어봄 없이 자동으로 복구한다.

-r : 화일 시스템 복구시 질문을 하게끔 한다. :

fsck 의 종료 코드는 다음 값의 합계로 나타난다:

0 - 에러 없음 : 1 - 화일 시스템 에러 고쳐짐 : 2 - 리부팅이 필요함 :

4 - 화일 시스템 에러를 고치지 않고 그대로 둠 : 8 - 실행 에러 : 16 - 사용법 또는 문법 에러

128 - 공유 라이브러리 에러

[root@lalalive*BunnyCOM2*/home]# fsck -t [type] [device]

fsck 파일 점검은 가능한 umount 한 후에 실행한다.

하지만 / mount 하지 않으면 부팅이 제대로 될수 없기에 / 를 체크할때는

플로피로 부팅을 하던지 아님 single mode 로 부팅한후 체크 한다.

[root@lalalive*BunnyCOM2*/home]# fsck.ext2 -cv /dev/hdb è 디스크 상태를 체크하고 수정한다.

마운틴 제어 명령어 및 USB 디스크 사용법

[root@lalalive*BunnyCOM2*/home]# mount –help

-v : 자세한 출력 모드. + -f : 실제 시스템 호출은 하지 않고 마운트할 수 있는지 점검 한다.

-n : /etc/mtab 화일에 쓰기 작업을 하지 않고 마운트 한다

-r 읽기만 가능하게 마운트한다. 같은 옵션으로는 -o ro 이 있다.

-w : 읽기/쓰기 모드로 마운트한다. 기본 설정값이다. 같은 옵션으로는 -o rw 이 있다.

-t <vfstype> 인수는 화일 시스템의 유형을 지시한다. 현재 지원되고 있는 화일시스템

유형은 linux/fs/filesystems.c 적혀있다.

minix, ext,ext2, xiafs, hpfs, fat, msdos, umsdos, vfat, proc, nfs, iso9660, smb,

ncp, affs, ufs, sysv, xenix,

[root@lalalive*BunnyCOM2*/home]# mount -t vfat /dev/hda9 /chroot/win98

[root@lalalive*BunnyCOM2*/home]# mount -t iso9660 /dev/cdrom /chroot/cdrom/

[root@lalalive*BunnyCOM2*/home]# mount -t ntfs /dev/hda11 /chroot/winxp/

[root@lalalive*BunnyCOM2*/home]# mount -t nfs lalalive.pe.kr:/tmp /chroot/nfs/

[root@lalalive*BunnyCOM2*/home]# mount -t ext2 /dev/hda13 /chroot/linux-ext2

[root@lalalive*BunnyCOM2*/home]# mount -t msdos /dev/fd0 /chroot/msdos/

[root@lalalive*BunnyCOM2*/home]# umount –help è 화일 시스템을 언마운트

-n : /etc/mtab 를 갱신하지 않고 언마운트한다.

-a : /etc/mtab 화일에 명시한 모든 화일 시스템을 언마운트한다.

-t : 파일시스템유형 특정 화일시스템유형에만 적용하도록 지정한다.

[root@lalalive*BunnyCOM2*/home]# umount /chroot/cdrom/

[root@lalalive*BunnyCOM2*/home]# umount –a è 전체 시스템 언마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