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주로 영상 인코딩을 할때 유마인 인코딩을 많이 사용합니다.
매우 편하고 화질도 그다지 나쁘지 않기 때문이지요.
이거 말고도 인코딩 프로그램은 많이 있습니다.
여러분의 취향대로 알아서 사용하세요.
설치시 기타 프로그램은 채크 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컴퓨터만 무거워 집니다. ^^
설치가 완료되고 실행하면 아래 처럼 업데이트 하겠냐고 물어보는데 저는 하지 않고 그냥 사용합니다.
왜냐하면 크게 기능에 하자가 없고 귀찮습니다. 크게 향상 된 부분이 있다면 직접 받아서 수동으로
패치하는 스타일 입니다.
업데이트 취소하면 넘어가면 아래 처럼 속성을 설정하는 부분이 나옵니다.
여러분의 취향에 따라 하시면 되지만 저는 주로 영상폰으로 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애플 5.5방식으로 해 놓고 인코딩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서 중요한건 비트수하고 프레임 수를 얼마만큼 잘 설정해 주는냐에 따라
화질이 결정되고 파일 용량도 결정한다는 사실을 생각 하시면서 설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래 설정 방식은 제가 중요한 영상을 파일을 인코딩할때 직접 설정하는 사용자 방식입니다.
이 모드는 어느정도 영상 인코딩에 대한 기본 지식이 있는 분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비트는 300에 프레임은 25-30으로 해 두고 해상도는 보통 400x300으로 해 두고
인코딩 합니다. 정말 중요한 비디오나 강의 영상을 씨디로 저장할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중요한건 비트+프래임+해상도 3개가 인코딩 화질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입니다.
여러분이 많이 해 보시면 이해가 가실겁니다.
저장 공간 설정하고 생성규칙에 대한 설정 입니다.
별로 특별하게 설정할 부분은 많지 않습니다.
자막하고 같이 인코딩 할때 설정해 주는 옵션부분입니다.
이것도 별로 어려운 내용이 없고 특별히 설정해 주는 부분이 적습니다.
적용하고 나오면 아래처럼 메뉴에 파일 추가해서 인코딩할 파일을 션택해 줍니다.
중요한게 있는데 자막하고 인코딩할때 영상파일하고 자막파일하고 서로 파일이름이 같아야 합니다.
그래야만 인코딩할때 자막유무에서 재대로 선택이 되었다고 표시가 나온다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
유마인인코딩의 좋은 점이 아래처럼 여러게를 한꺼번에 인코딩해 주는게 참 좋은 점입니다.
저같은 이렇게 보통 10-20개 정도를 선택해서 인코딩하게 해 놓고 다른 컴에서 작업을 합니다.
이유가 부하가 걸리면 작업시간이 길어집니다. 다른 작업은 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이제 이런식으로 여러분이 인코딩해 보세요. 재미있습니다.^^
'🌟2017년 이전 포스팅 모음 🌟 > 💞Program Manu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UltraISO 이용한 가상 씨디 관리와 이미지 변환 (0) | 2011.05.16 |
---|---|
Cool 3D 이용한 문자 베너 제작. (0) | 2011.05.16 |
♧vmware7♧ 사용자 모드로 가상 OS 추가 및 가상 하드 디스크 추가 방법 (0) | 2011.05.16 |
♧vmware7♧ 새로운 OS 추가 방법 및 부팅 이미지 설정 (0) | 2011.05.16 |
FilelistCreator 이용한 자료 목록 문서로 정리 (0) | 2011.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