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홈 폐이지 : http://www.xpressengine.com/  ==> 소스는 여기서 다운 받는다.

가상 호스트 부분 설정.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이 파일에 다음 설정 입력

127.0.0.1       bbs1.linuxsunny.com
192.168.193.133  bbs1.linuxsunny.com
아파치 가상 호스트 부분 설정

C:\Server\APMServer\Server\Apache\conf\extra\httpd-vhosts.conf 이 파일에 다음 입력
################ 제로 보드 일반 게시판 ################
<VirtualHost *:80>
    ServerAdmin
sunny@linuxsunny.com
    DocumentRoot "C:\Server\userhome\bbs1\web"
    ServerName bbs1.linuxsunny.com
 ServerAlias bs.linuxsunny.com
    ErrorLog "logs/bbs1.linuxsunny-error.log"
    CustomLog "logs/bbs1.linuxsunny-access.log" common
</VirtualHost>
데이타베이스 디비명을 설정한다.
C:\>mysql -h localhost -u sunny -p mysql
Enter password: **********************

mysql> create database www_bbs1;
Query OK, 1 row affected (0.02 sec)

mysql> FLUSH PRIVILEGES;
Query OK, 0 rows affected (0.03 sec)

이렇게 설정하고 다음을 진행.
예를 들어서 나의 가상 호스트 홈은 C:\Server\userhome\bbs1\web 이다.
그럼 게시판 소스를 web안에 카피하고 압축을 풀어주면 된다.
마찬가지로 XP는 개인용 OS라 권한설정을 할 필요가 없다리눅스나 원도우 서버라면 권한설정이나 퍼미션 설정을 하는건 당연이 해야 하지만
XP에서는 이 과정은 넘어간다.
이제 web브러우져로 접속해서 나머지 설치와 설정만 하면 된다.

 

 

 

 

 

 

 

 

 

필요한 APM 다운로드 공식 폐이지

======================================================================================
http://apache.tt.co.kr//httpd/   ==> 아파치 공식 다운로드
http://windows.php.net/download/  ==> PHP 공식 다운로드ftp://ftp.sayclub.co.kr/pub/mysql/Downloads/MySQL-5.1  ==> mysql 공식 다운로드
=======================================================================================

기타 그래픽 라이브러리 및 ssl 라이브러리 공식 다운로드 폐이지

===================================================================================================
http://gnuwin32.sourceforge.net/packages/gd.htm  ==> GD 라이브러리http://gnuwin32.sourceforge.net/packages/openssl.htm ==> Openssl 라이브러리http://www.winimage.com/zLibDll/index.html  ==> zlib 라이브러리http://gnuwin32.sourceforge.net/packages/libpng.htm  ==> LibPng 라이브러리
http://www.imagemagick.org/script/binary-releases.php ==> Imagemagick 라이브러리
http://download.cnet.com/ActivePerl-Windows/3000-2069_4-10006395.html  ==> Perl 스크립트 연동 프로그램
http://www.perl.org/get.html  ==> 딸기Perl 미니 연동 스크립트 프로그램
========================================================================================================
####### MYSQL 서버 설치 및 기본 설정 ###########

 

 

######### PHP 설치 및 기본 설정 #########

 ##### 아파치 서버 설치 및 기본 설정  ##########

 

 마지막 서비스 데몬 설정을 한다.

 

############## GD 라이브러리 XP용 설치 하기 ################

############## LibPng 라이브러리 XP용 설치 하기 #################

 

#################  ImageMagick 라이브러리 XP용 설치 하기 #######################

 

 

 

################## OPENSSL 라이브러리 XP용 설치 하기 #####################

 
#################### Perl 스크립트 연동 라이브러리 XP용 설치 하기 #######################

 

 

 

 

 

 이제 모든 APM서버와 라이브러리 호환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나중에 web폐이지에서
재대로 그래픽이나 플러그가 실행이 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단순히 APM만 설치하면 다 되는줄 알지만 이것만 가지고 동적인 폐이지를
구현할수 있는게 아니다. 여기에 따라오는 기본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는걸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구축 도구로 사용할 블로그 소스는 Textcube 이다.
안정성이나 호환성면에서 우수한 블로그 소스라고 말할수 있고 많은 개발자들이 여기에 참여하고 있다.
일단 http://www.textcube.org/download 에서 소스파일을 다운 받는다.
현재 최신 버전은 1.8.5버전이다.
제일 먼저 APM 서버하고 네트워크 호스트및 도메인 설정을 점검하고 세팅해야 한다.
호스트설정은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파일을 편집기로 불러와서 다음처럼 설정해 준다.
===================================================================================
127.0.0.1       blog.linuxsunny.com  ==> 로컬IP로 설정해도 가능하고 아니면
192.168.1.16   blog.linuxsunny.com  ==> 고정IP로 설정해도 됩니다.
이렇게 저장하고 빠져나옵니다.
===================================================================================
만약에 도메인서버가 돌아가고 있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서 C:\Server\bind9\dns\etc\named\cfg\linuxsunny.zone 이라는 존 파일을 열어서
===============================================================================================
blog.linuxsunny.com.  IN A 192.168.1.16 이런 형식이거나
blog.linuxsunny.com.  IN A 127.0.0.1 이렇게 설정 하시고 저장한 다음 네임서버를 다시 시작해 줍니다.
===============================================================================================
이제 아파치 서버 설정파일에서 가상 호스트부분을 설정 합니다.
C:\Server\APMServer\Server\Apache\conf\extra\httpd-vhosts.conf 이파일을 편집기로
불러와서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
############### 블로그 메인 호스트 ###############
<VirtualHost *:80>
    ServerAdmin
sunny@linuxsunny.com
    DocumentRoot "C:\Server\userhome\Blog\web"
    ServerName blog.linuxsunny.com
    ServerAlias myblog.linuxsunny.com
    ErrorLog "logs/blog.linuxsunny-error.log"
    CustomLog "logs/blog.linuxsunny-access.log" common
</VirtualHost> 
========================================================================================= 
이제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설정합니다.
=======================================================================================
C:\>mysql -h localhost -u sunny -p mysql
Enter password: ****************************
Welcome to the MySQL monitor.  Commands end with ; or \g.
Your MySQL connection id is 1
Server version: 5.1.41-community MySQL Community Server (GPL)

Type 'help;' or '\h' for help. Type '\c' to clear the current input statement.

mysql> create database my_Blog;
Query OK, 1 row affected (0.02 sec)

mysql> FLUSH PRIVILEGES ;
Query OK, 0 rows affected (0.17 sec) 
=======================================================================================
이제 다운 받은 파일을 가상호스트 디렉토리로 이동시켜서 압축을 풀고 기타 설정을 하시면
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web루트가 C:\Server\userhome\Blog\web 입니다.
파일을 위에 루트로 이동한 다음 압축 풀고 퍼미션등을 설정 하시면 됩니다.

퍼미션 설정부분이 남아있는데 솔직히 xp에서는 이건 안해 주어도 됩니다.
리눅스 서버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OS자체가 오픈이라 권한설정을 해줄 필요성이 별로 없습니다.
만약 리눅스나 원도우서버 OS라면 당연히 퍼미션이나 권한설정을 해야 하는건 당연하겠지만
XP에서는 이 과정은 생략합니다.
자 이제 웹에서 접속해서 설치과정만 하시면 됩니다.

 

이제 여러분이 손 쉽게 자신만의 블로그 서버를 만들어서 독자적으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참고 문헌
===============================================================================
http://phpbb-host.com/
http://www.minibb.com/
http://www.mybb.com/downloads
https://www.vbulletin.com
http://www.usebb.net/
http://vanillaforums.org/
http://www.webwiz.co.uk/software/
http://www.xmbforum.com
http://www.yabbforum.com/downloads.php
================================================================================= 

http://phpbb.com 에서 소스를 다운받는다.
phpBB-3.0.8.zip 이라는 파일이름으로 저장했다면 이 파일을
C:\Server\userhome\phpbb\web 이라는 내가 구축할려고 하는 가상 호스트 홈에 복사한다.
그다음에 http://www.phpbbkorea.com 이 싸이트에 가서 한글 패치를 다운 받는다.
또한 디자인 이미지 팩키지도 함께 받아둔다.

그러면 압축파일이 3개가 존재할 것이다.
처음엔 phpBB-3.0.8.zip 먼저 압축풀고 그다음에 PHPbb3_edited_10th_lang_kr.zip 이라는 언어패치의
압축을 풀어놓는다. 그다음에 phpbb3_aqua-sim-ani-imageset.zip 이 디자인이미지의 압축을 풀어준다.
이 다음에 kr이라는 디렉토리를 phpbb\web\language이라는 언어 디렉토리안에 붙여넣는다.
imageset라는 이미지세트는 phpbb\web\styles\subsilver2 이라는 곳에 붙여넣는다.
모든 패치준비는 다 끝났다.
다음 설정해야 될 내용은 아파치 가상 호스트부분하고 MYSQL부분을 세팅해 주어야 한다.
먼저 C:\WINDOWS\system32\drivers\etc 이라는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hosts 파일에
다음처럼 선언해 주어야 한다.
===============================================================
127.0.0.1       localhost
127.0.0.1       linuxsunny.com
127.0.0.1       cs.linuxsunny.com
127.0.0.1       phpbb.linuxsunny.com
===============================================================
이런식으로 네트워크에서 호스트를 인식할수 있도록 선언해 주어야 가상호스트를 사용할수 있다.
도메인을 사용하지 않고 로컬시스템에서 사용한다점을 알아두기 바란다.
그 다음에 아파치 가상 호스트를 설정한다.
C:\Server\APMServer\Server\Apache\conf\extra 디렉토리에
httpd-vhosts.conf 파일안에 다음 내용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서 작성한다.

=========================================================================================
NameVirtualHost *:80
################ PHPBB 포럼 게시판 ################
<VirtualHost *:80>
    ServerAdmin
sunny@linuxsunny.com
    DocumentRoot "C:\Server\userhome\phpbb\web"
    ServerName phpbb.linuxsunny.com
    ServerAlias   bb.linuxsunny.com

    ErrorLog "logs/phpbb.linuxsunny-error.log"
    CustomLog "logs/phpbb.linuxsunny-access.log" common
</VirtualHost>
##################################################
==========================================================================================
C:\>mysql -h localhost -u sunny -p mysql
Enter password: ******************

mysql> create database My_phpbb3;
Query OK, 1 row affected (0.03 sec)

mysql> FLUSH PRIVILEGES ;
Query OK, 0 rows affected (0.80 sec)
이런식으로 PHPBB에서 사용할 DB설정을 완료한다.
이제 본격적으로 게시판 포럼 싸이트를 구축해 보도록 하자.

모든 포럼 싸이트 설치가 끝나고 나면 C:\Server\userhome\phpbb\web\ 안에 install이라는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그 다음에 관리자로 로그인해서 해당 포럼 보안 설정이나 디자인 설정을 마무리 한다.

이제 모든 설치와 설정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자신만의 포럼 싸이트를 구축할수 있습니다.
클럽이나 세미나 용으로 활용한다면 효율성이 크겠지요. ^^

일단 설치하기 전에 서버에 대한 기본 설정을 해야 합니다.
일단 네트워크 호스트 설정을 다음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편집해야 합니다.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 이파일 열어서 호스트를 설정한다.
가상 OS로 시험하는 거기 때문에 도메인은 구지 필요없다.
만약 도메인으로 구성 한다면 아래에서 설정 방법만 설명한다.
==================================================================
127.0.0.1       localhost
192.168.193.132 linuxsunny.com
192.168.193.132 sunny.linuxsunny.com
192.168.193.132 study.linuxsunny.com
192.168.193.132 
www.linuxsunny.com
192.168.193.132 webmail.linuxsunny.com
192.168.193.132 blog.linuxsunny.com
192.168.193.132 mp3.linuxsunny.com
192.168.193.132 
ftp.linuxsunny.com
192.168.193.132 phpbb.linuxsunny.com

===================================================================
저장하고 나온다.
C:\Server\bind9\etc 이홈으로 이동해서 zone파일에서 다음과 같이 가상호스트를
지정한다.
linuxsunny.zone ==> 내 도메인 설정 파일이다. 여러분은 만든 zone파일 열어서 편집하시면 됩니다.
=========================================================
mail  IN A 192.168.193.132
webmail.linuxsunny.com.  IN A 192.168.193.132
==================================================
linuxsunny.rev ==> 이파일도 편집해 둔다.
===================================================
132       IN      PTR     mail.linuxsunny.com.
132       IN      PTR     webmail.linuxsunny.com.
=============================================================
그리고 네임서버를 다시 시작해 준다.
C:\Server\APMSetup\Server\Apache\conf\extra 여기로 이동해서 가상호스트를
설정한다.
httpd-vhosts.conf 이파일을 열어서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Virtualhost *:80>
 ServerAdmin
sunny@linuxsunny.com
 DocumentRoot "C:/UserHome/webmail/web"
 ServerName webmail.linuxsunny.com
 ServerAlias webmail.linuxsunny.com
 #ThrottlePolicy Volume 300M 1d
 ErrorLog "logs/webmail.linuxsunny.com-error.log"
 CustomLog "logs/webmail.linuxsunny.com-access.log" common
</Virtualhost>
=================================================================

이렇게 저장하고 나온다.
APM서버데몬을 다시 시작해 준다.
웹브러우저에서 호스트 도메인으로 접속이 되는지 확인한다.
http://webmail.linuxsunny.com/  ==> 예를 들어서 이렇게 치고 들어가서
밑에 파일 목록하고 Apache Server at webmail.linuxsunny.com Port 80 이 메세지가
나오다면 설정은 재대로 완료된 것이다.
C:\Server\APMSetup 이동해서 MYSQL설정 파일에서 다음 부분을 변경한다.
my.ini 이 파일을 편집기로 불러온다.
===================================================================================
[mysqldump]
# Do not buffer the whole result set in memory before writing it to
# file. Required for dumping very large tables
quick
max_allowed_packet =  16M  ==> max_allowed_packet = 32M로 변경한다.
==================================================================================
C:\UserHome\webmail\web\_php.bat_sample 이 디렉토리를 이동해서
거기 셈플 파일중에 자신에게 맞는 파일을 알맞게 편집한다.
나는 APM서버로 사용중이기 때문에 php_APMSETUP6_2009041200.bat로 수정한다.
===================================================================================
@ECHO OFF
C:\Server\APM_Setup\Server\PHP5\php.exe -q -c C:\Server\APM_Setup\php.ini %1 %2 %3 %4 %5 %6 %7 %8 %9
====================================================================================
==> 이 경로가 자신의 서버경로에 맞게 수정하고 나서 저장할때 C:\WINDOWS 안에 php.bat 이라는 파일로 저장해야 한다.
그 다음 PHP 실행 명령 PATH를 설정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안되어 있다면 다음처럼 설정한다.
시작에서 ==> 내 컴퓨터 ==> 속성을 클릭해서 ==> 고급 ==> 환경변수를 클릭 ==> 시스템 변수부분에서 ==> PATH부분에 ==> 편집누르고 ==> C:\Server\APMSetup\Server\PHP5 이경로를 연결해 준다. ==> 확인
그리고 다시 실행 명령 CMD를 친다.
아니면 다음과 같이 편집해서 자동 실행하게 설정 할수 있다
AUTOEXEC.BAT 이 파일을 편집기로 불러온다.
=======================================================================================
set path=c:\;%SystemRoot%\system32;%SystemRoot%;%SystemRoot%\System32\Wbem;
C:\Server\IIS_PHP_MYSQL\MySQL\bin;C:\Server\IIS_PHP_MYSQL\PHP5;
C:\Server\APMServer\Server\Apache\bin;C:\Server\APMServer\Server\MySQL5\bin;
C:\Server\APMServer\Server\PHP5 
이 구문은 한줄로 작성해야 한다.
==========================================================================================
C:\>php -v
PHP 5.2.12 (cli) (built: Dec 16 2009 17:03:10)
Copyright (c) 1997-2009 The PHP Group
Zend Engine v2.2.0, Copyright (c) 1998-2009 Zend Technologies
    with Zend Extension Manager v1.2.0, Copyright (c) 2003-2007, by Zend Technologies
    with Zend Optimizer v3.3.3, Copyright (c) 1998-2007, by Zend Technologies 

==> 이렇게 나와야 한다.

C:\Documents and Settings\MYHOME>php -m|findstr mbstring
mbstring  ==> 이모률을 확인하다 

C:\Documents and Settings\MYHOME>php -i|findstr php.ini
Configuration File (php.ini) Path => C:\WINDOWS
Loaded Configuration File => C:\Server\APMServer\php.ini 

==> 경로를 확인하다.

C:\>mysqladmin -h localhost -u root -p PASSWORD xxxxxxxx
Enter password: ********

C:\>mysqladmin -u root -p reload
Enter password: ********

C:\>mysql -h localhost -u root -p mysql
Enter password: ********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 TO webmail@localhost IDENTIFIED BY 'xxxxxxx' WITH  GRANT OPTION;
Query OK, 0 rows affected (0.00 sec)

mysql> FLUSH PRIVILEGES;
Query OK, 0 rows affected (0.00 sec)
mysql> quit

예를 web메일 루트가 아래처럼 이라면
C:\Server\userhome\webmail\web로이동해서nmail_dir_set.bat을실행한다. 

이제 본격적인 설치를 시작한다.

C:\Server\userhome\webmail\web로이동해서nmail_install.bat을 실행한다.

 

이렇게 모든 설치와 설정을 마무리 하고 다음과 같이 web브러우져에서 접속해서
관리자로 로그인 하셔서 나머지 추가 설정을 해야 합니다.

 

만약 메일이 도착했거나 메일 박스에 저장된 내용이 있다면 아래 그림에서 볼수 있습니다.

관리자 메뉴에서 시스템에 정의된 계정이나 다른 메일 계정이 있다면 계정 추가를 누르고 한명씩 입력해서 설정하시면 됩니다.

지금 사용자가 일반 계정 사용자라면 환경설정에 가서 자신만의 메일폐이지를 구성하시면 됩니다.

이런식으로 간단하게 메일 폐이지를 구축할수 있습니다.
뿐만아니라 web하드도 지원하기 때문에 자신만의 자료 공간을 만들어서 사용할수 있습니다

 

메일 서버를 설치합니다.
아래그림 처럼 설치하시면 됩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아도 제가 그림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쉽게 이해할수 있을 겁니다.

 

설치  경로를 원하시는데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프로그램명은 알아서 입력하세요~~~^^

지금 까지 설정된 내용이 맞다면 인스톨을 누르시면 됩니다.

설치가 끝나면 완료를 누르세요.

이제 서버를 실행하셔서 등록키를 입력하고 사용하시면 되고 그냥 베타버전으로 사용해도 상관없습니다.

 

기본설정에 가서 주 도메인명을 입력하고 용량도 원하는 만큼 설정하시면 됩니다.

 메일 서버 최적화설정을 원한다면 세부설정도 나름대로 지정하시기 바랍니다.

유저관리는 일반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는 옵션 입니다.
여러분이 알아서 입력하세요.

이제 모든 설정을 마무리하고 이제 서버를 시작해 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XP에서 간단하게 메일서버를 구축할수 있습니다.
대용량 메일서버도 가능하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ㅋㅋㅋ

 


http://www.silverex.org/download/archive.php  ==> 프로그램을 다운받는다.
이 프로그램이 제가 보기엔 가장 호환성이 좋고 한글지원이 잘 되어서 제가 많이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입니다.
일단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해서 설치를 시작합니다.

HanIRC 주소는 kr.hanirc.org/6667  단군넷 주소는 irc.dankun.net/6667 둘다 문자세트는 CP949 (Korean) 기본정보에 체크하시고 사실 포트는 6667아니면 6668을 많이 사용합니다.

 

IRC 사용 명령어 리스트 정리

    ALLCHAN : ALLCHAN <명령>, 참가중인 모든 대화방에 명령을 수행합니다.
    ALLCHANL : ALLCHANL <명령>, 참가중인 모든 대화방에 명령을 수행합니다.
    ALLSERV : ALLSERV <명령>. 접속중인 모든 서버에서 명령을 수행합니다.
    AWAY : AWAY [<이유>], 자리비움으로 표시합니다.
    BACK : BACK, 돌아옴으로 표시 (자리비우지 않음)
    BAN : BAN <매스크> [<형태>], 현재 대화방에서 해당되는 매스크에 속한 모든 사람을 참여하지 못하게합니다. 만약 이미 대화방에 있다면,  강제퇴장 시키면 그 사람은 다시 참여 할 수 없습니다.(대화방 관리권한 필요)
    CHANOPT : CHANOPT [-quiet] <variable> [<value>]
    CHARSET :
    CLEAR : CLEAR [ALL|HISTORY], 현재 텍스트 창 및 명령어 기록을 지웁니다
    CLOSE : CLOSE, 현재 창이나 탭을 닫습니다.
    COUNTRY : COUNTRY [-s] <코드|wildcard>, 국가 코드를 찾습니다. 예: au = 오스트레일리아
    CTCP : CTCP <대화명> <메세지>, CTCP 메세지를 해당 사요자에게 보냅니다, 널리 쓰이는 메세지는 VERSION 과 USERINFO 입니다.
    CYCLE : CYCLE [<대화방], 현재 대화방이나 주어진 대화방을 나갔다가 바로 다시 들어 옵니다.
    DCC :
 DCC GET <대화명>                      - 해당 사용자에게 파일 받기를 시도합니다.
 DCC SEND [-maxcps=#] <대화명> [파일]  - 해당 사용자에게 파일을 전송합니다.
 DCC PSEND [-maxcps=#] <대화명> [파일] - 해당 사용자에게 파일을 Passive 모드로 전송합니다.
 DCC LIST                            - DCC 목록을 표시합니다.
 DCC CHAT <대화명>                     - 해당 사용자와 1:1 대화를 시도합니다.
 DCC PCHAT <대화명>                    - 해당 사용자와 1:1 대화를 Passive 모드로 시도합니다.
 DCC CLOSE <명령> <대화명> <파일>         예제:
          /dcc close send johnsmith file.tar.gz
    DEBUG :
    DEHOP : DEHOP <대화명>, 현재 대화방에서 제한된 관리권한을 박탈합니다.(관리권한 필요)
    DELBUTTON : DELBUTTON <단추명>, 사용자 목록에서 단추를 지웁니다.
    DEOP : DEOP <대화명>, 현재 대화방에서 관리권한을 박탈합니다.(관리권한 필요)
    DEVOICE : DEVOICE <대화명>, 현재 대화방에서 해당 사용자의 발언권을 박탈합니다.(관리권한 필요)
    DISCON : DISCON, 서버와 연결을 끊습니다
    DNS : DNS <대화명|호스트|IP>, 해당 사용자의 IP주소를 찾습니다.
    ECHO : ECHO <글월>, 글월을 대화창에 출력합니다.
    FLUSHQ : FLUSHQ, 현재 서버에 보낼 목록을 제거합니다.
    GATE : GATE <호스트> [<포트>], 해당 호스트를 프록시로 사용하고, 포트의 기본값은 23 입니다.
    GETFILE : GETFILE [-folder] [-multi] [-save] <command> <title> [<initial>]
    GETINT : GETINT <default> <command> <prompt>
    GETSTR : GETSTR <default> <command> <prompt>
    GHOST : GHOST <대화명> <암호>, 유령으로된 사용자의 접속을 종료시킵니다.
    GUI : GUI [APPLY|ATTACH|DETACH|SHOW|HIDE|FOCUS|FLASH|ICONIFY|COLOR <n>]
        GUI [MSGBOX <text>|MENU TOGGLE]
    HELP :
    HOP : HOP <대화명>, 해당 사용자에게 제한된 관리권한을 부여합니다 (관리권한 필요)
    ID : ID <암호>, 자신을 NickServ로부터 인증합니다.
    IGNORE : IGNORE <매스크> <형태..> <추가인수..>
     매스크 - 무시할 호스트 매스크, 예: *!*@*.aol.com
     형태 - 무시할 형태,  사용가능한 값:
             PRIV, CHAN, NOTI, CTCP, DCC, INVI, ALL
     추가인수 - NOSAVE, QUIET
   
INVITE : INVITE <대화명> [<대화방>], 누군가를 대화방에 초대합니다. 대화방의 기본값은 현재 대화방 입니다.(관리권한 필요)
  
  JOIN : JOIN <대화방> [<암호>], 대화방에 참여합니다.
    KICK : KICK <대화명>, 해당 사용자를 현재 대화방에서 강제 퇴장 시킵니다 (관리권한 필요)
    KICKBAN : KICKBAN <대화명>, 해당 사용자를 대화방에서 강제 퇴장시키고 다시 참여하지 못하게합니다.(관리권한 필요)
    KILLALL : KILLALL, immediately exit
    LAGCHECK : LAGCHECK, 새로운 lag 확인
    LASTLOG : LASTLOG <문자열>, 기억공간에서 해당 문자열을 검색합니다
    LIST :
    LOAD : LOAD [-e] <파일>, 추가기능이나 혼자말을 읽어들입니다.
    MDEHOP : MDEHOP, 현재 대화방에서  모든 관리자의 권한을 박탈합니다. (관리권한 필요)
    MDEOP : MDEOP, 현재 대화방에서  모든 관리자의 권한을 박탈합니다. (관리권한 필요)
    ME : ME <행동>, 현재 대화방에서  행동을 취합니다. (행동은 3자에게 사용합니다. 예: /me 후다다닭==33 )
    MENU : MENU [-eX] [-i<ICONFILE>] [-k<mod>,<key>] [-m] [-pX] [-r<X,group>] [-tX] {ADD|DEL} <path> [command] [unselect command]
        See http://xchat.org/docs/menu/ for more details.
   
MKICK : MKICK, 현재 대화방에서 모든 사람을 강제 퇴장 시킵니다. (관리권한 필요)
    MODE :
    MOP : MOP, 현재 대화방의 모든 사용자에게 관리 권한을 부여합니다 (관리권한 필요)
   
MSG : MSG <대화명> <메세지>, 귓속말을 보냅니다.
    NAMES : NAMES, 현재 대화방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대화명을 출력합니다.
    NCTCP : NCTCP <대화명> <메세지>, CTCP 알림 메세지를 보냅니다.
    NEWSERVER : NEWSERVER [-noconnect] <호스트이름> [<포트>]
   
NICK : NICK <대화명>, 당신의 대화명을 설정하거나 변경합니다.
    NOTICE : NOTICE <대화명/대화방> <메세지>, 공지를 보냅니다. 공지사항은 자동으로 취해지는 메세지의형태 입니다.
    NOTIFY : NOTIFY [-n 네트워크1[,네트워크2,...]] [<대화명>], 알림 목록을 표시하거나 목록에 대화명을 추가합니다.
   
OP : OP <대화명>, 해당 사용자에게 대화방 관리권한을 부여합니다. (관리권한 필요)
    PART : PART [<대화방>] [<이유>], 대화방을 나갑니다, 대화방의 기본 값은 현재 대화방 입니다.
    PING : PING <대화명 | 대화방>, 사용자나 대화방에 CTCP 핑을 보냅니다.
    QUERY : QUERY [-nofocus] <대화명>, 누군가에 대한 새 privmsg 창을 엽니다
   
QUIT : QUIT [<이유>], 서버와 접속을 종료합니다.
    QUOTE : QUOTE <텍스트>, 서버에 원시 메세지를 보냅니다.
    RECONNECT : RECONNECT [-ssl] [<호스트>] [<포트>] [<암호>], 그냥 /RECONNECT는 현재 서버를 재 접속 하고  /RECONNECT ALL을 사용하면  접속되어 있는 모든 서버에 재 접속합니다.
    RECV : RECV <텍스트>, xchat에 원시 자료를 보냈을때, 만약 IRC 서버로부터 받은자료가 있다면 수신합니다
    SAY : SAY <텍스트>, 현재 창의 객체에게 텍스트를 보냅니다.
    SEND : SEND <대화명> [<파일>]
    SERVCHAN : SERVCHAN [-ssl] <호스트> <포트> <대화방>, 접속후, 대화방에 자동 참여 하거나 대화방을 개설합니다.
    SERVER : SERVER [-ssl] <호스트> [<포트>] [<암호>], 서버에 접속합니다, 일반적인 접속의 포트는 6667이며 ssl 접속을 위해 9999를 사용합니다.
    SET : SET [-e] [-off|-on] [-quiet] <variable> [<value>]
    SETCURSOR : SETCURSOR [-|+]<위치>
    SETTAB :
    SETTEXT :
    SPLAY : SPLAY <soundfile>
   
TOPIC : TOPIC [<주제>], 주제가 주어지면 주어진 주제를 설정하고, 아닐경우 현재 주제를 보여 줍니다.
    TRAY :
 TRAY -f <제한시간> <파일1> [<파일2>] 트레이에서 두개의 아이콘을 깜빡이게 합니다.
 TRAY -f <파일이름>                  트레이에 해당 아이콘으로 설정합니다.
 TRAY -i <번호>                      내장된 아이콘을 깜빡이게 합니다.
 TRAY -t <텍스트>                    트레이에 도움말을 표시합니다.
 TRAY -b <제목> <텍스트>             트레이에 제목을 표시합니다.
    UNBAN : UNBAN <매스크> [<매스크>...], 정의된 매스크를 입장금지목록에서 해제합니다.
    UNIGNORE : UNIGNORE <매스크> [QUIET]
    UNLOAD : UNLOAD <이름>, 추가기능이나 혼자말의 사용을 중지합니다.
    URL : URL <url>, URL을 브라우저에서 엽니다.
   
USELECT : USELECT [-a] [-s] <대화명1> <대화명2> 기타, 대화방의 사용자목록에서 해당 대화명을 강조하여 표시합니다.
    USERLIST :
   
VOICE : VOICE <대화명>, 해당 사용자에게 발언권을 부여합니다 (관리권한 필요)
   
WALLCHAN : WALLCHAN <메세지>, 모든 대화방에 메세지를 보냅니다.
    WALLCHOP : WALLCHOP <메세지>, 현재 대화방의 모든 관리자에게 메세지를 보냅니다. 


네트워크 뷰어는 현재 네트워크 상태를 표시해 주고 모니터 뿐만 아니고 스캔 기능도 제공하면서 그 결과값을 레포터 형식으로 저장해 주는 유틸입니다.
아주 전문적인 프로그램이고 현재 자신의 컴을 중심으로 모든 허브와 게이트웨이 정보를 파악해서 그 조회하고자 하는 클라이이언트 컴이나 서버컴의 접속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수 있어서
아주 좋은 프로그램 입니다.
주로 네트워크 관리자나 보안 관리자가 많이 사용하는 유틸중에 하나 입니다.
인터넷에 찿아보면 이 프로그램은 쉽게 구할수 있는데 알고 있는분이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일단 프로그램 설치 방법이나 기본적인 사용방법은 아래 제가 그림에 적은 설명을 잘 보시면 이해가 가실겁니다.

설치 경로를 지정합니다.

정보를 확인하고 설치 시작합니다.

마침을 누룹니다.

제가 사용하는 버전은 크랙 버전입니다.
그냥 크랙파일을 설치디렉토리에 카피하면서 덮어 씨우면 됩니다.

이제 밑에 그림을 잘 보시고 설명글을 보시면서 해 보시면 이해가 가실겁니다.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자 이런식으로 얼마든지 자신이 원하는 모니터 현황과 정보를 파악할수 있습니다.
잘하면 상대 컴퓨터의 보안적인 허점도 찾아낼수 있습니다.
그만큼 악용하면 안되겠지요. ^^

 


밑에 그림에 설명글을 적어두어서 알아보기가 쉬울것입니다.
그림대로 해 보시면 충분히 활용할수 있을 것입니다.

web서비스도 파일리스트 형태로 아래처럼 사용할수 있습니다.
별로 실무에서는 이런식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극히 드문 일입니다.

익스에서 아래그림 처럼 접속해서 파일이 보인다면 서비스와 설정이 재대로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열리지 않는다면 어느 설정 사항에 문제가 있다는 의미로 보시면 되고 차근 차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그림 처럼 열린 포트를 확인해 보세요.

알아두어야 할 상식

1. FTP Publishing 서비스 <ftp관리데몬>
2.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서비스 <mail관리데몬>
3. World Wide Web Publishing 서비스 <web관리데몬>
==> IIS Admin 서비스 <통합관리데몬>
IIS서버를 설치하면 위의 3개 데몬이 자동 추가된다.
저 위의 3개 데몬 서비스가 IIS서비스의 핵심이라고 보면 되고
IIS Admin 데몬은 3개 데몬의 통합 관리하는 최상위 데몬 서비스라는
상식은 알고 있어야 한다.

 

 


실재로 실무 작업에서는 ServU를 많이 사용합니다.
IIS에 내장된 ftp만 가지고는 다중 계정 기능을 서비스하기에는 문제가 많이 있는게
사실입니다.
또한 IIS-ftp는 보안적으로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 대안으로 많이 사용하는게 ServU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제가 다 설명을 해 두었기 때문에 구채적인 세밀한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즉 그림만 보고 따라해 보시면 충분히 이해가 가실 겁니다.
이제 설치를 시작합니다. 

디렉토리를 정해 줍니다. 

설치가 마무리 하고 실행하면 아래 그림처럼 설정 마법사가 실행됩니다. 

 

 아이피를 적어주고 다음 진행

 해당 도메인을 적어주시고 다음 진행

 자동 데몬 서비스를 설정하고 다음 진행

 공개 서비스를 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다음 진행

공개 계정으로 사용할 디렉토리를 선택 

 어노미 계정에 관리자 권한을 허용할 것인지 설정

 일반 계정 ID를 생성할 것인지를 설정

일반 계정에 사용할 로그이름을 설정해 준다. 

계정 아이디의 암호를 설정 해 주고 다음진행 

일반 계정 사용자의 디렉토리를 선택해 주고 다음 진행 

 관리자 권한을 허용할지 여부를 선택하고 다음 진행

지금 까지 설정한 부분이 이상 없으면 설정마법사를 완료한다. 

이런식으로 호스팅을 하거나 서버 계정 서비스를 한다는 상담히 간단하게 ftp기능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실효성 면에서 아주 큰 도움을 준다고 할수 있습니다.
위에 제가 그림에 써 놓은 설명글을 잘 읽어보시고 차분하게 해 보시면 이해가 가실겁니다.

 

PHP5 추가 설정 및 보안 설정

php.ini-dist 파일을 php.ini로 변경해야 한다.
이 파일은 매우 중요하다. PHP의 환경 설정 파일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어느 정도
설정해 주지 않으면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디.
php.ini를 문서 편집기로 불러온다.
================================================================================================
max_execution_time = 40     ; Maximum execution time of each script, in seconds
max_input_time = 80 ; Maximum amount of time each script may spend parsing request data
;max_input_nesting_level = 64 ; Maximum input variable nesting level
memory_limit = 256M      ; Maximum amount of memory a script may consume (128MB)
; Maximum size of POST data that PHP will accept.
post_max_size = 30M

; Whether to allow HTTP file uploads.
file_uploads = On

; Temporary directory for HTTP uploaded files (will use system default if not
; specified).
;upload_tmp_dir =

; Maximum allowed size for uploaded files.
upload_max_filesize = 30M

; Maximum number of files that can be uploaded via a single request
max_file_uploads = 100

; Whether to allow the treatment of URLs (like http:// or ftp://) as files.
allow_url_fopen = On

; Whether to allow include/require to open URLs (like http:// or ftp://) as files.
allow_url_include = Off

; Define the anonymous ftp password (your email address)
;from="john@doe.com"

[mail function]
; For Win32 only.
SMTP = localhost
smtp_port = 25

; For Win32 only.
sendmail_from = sunny@linuxsunny.pe.kr
; Default port number for mysql_connect().  If unset, mysql_connect() will use
; the $MYSQL_TCP_PORT or the mysql-tcp entry in /etc/services or the
; compile-time value defined MYSQL_PORT (in that order).  Win32 will only look
; at MYSQL_PORT.
mysql.default_port = 3306

; Default socket name for local MySQL connects.  If empty, uses the built-in
; MySQL defaults.
mysql.default_socket =

; Default host for mysql_connect() (doesn't apply in safe mode).
mysql.default_host =

; Default user for mysql_connect() (doesn't apply in safe mode).
mysql.default_user =

; Default password for mysql_connect() (doesn't apply in safe mode).
; Note that this is generally a *bad* idea to store passwords in this file.
; *Any* user with PHP access can run 'echo get_cfg_var("mysql.default_password")
; and reveal this password!  And of course, any users with read access to this
; file will be able to reveal the password as well.
mysql.default_password =

====================================================================================
==> 위에 나열한 옵션들은 매우 중요하다.
자신의 서버 상태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해야 최적화 된 서비스를 할수 있습니다.
몰론 기본 설정된 샘플 파일만 가지고도 어느정도 사용하는데는 지장이 없지만
그래도 보안상 수정해서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저장하시고 web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MYSQL 종합 설정 하고 사용 관리 방법

 1. 일반 관리자 접속

C:\>mysql -h localhost -u root -p mysql
Enter password: ********

 2. 관리자 패스워드 변경

C:\>mysqladmin -h localhost -u root -p PASSWORD 012345
Enter password: ********
설정 사항을 다시 갱신하기

C:\>mysqladmin -u root -p reload
Enter password: ******

 3. SQL명령모드상태에서 관리자 암호 변경
mysql> set password for 'root'@'localhost' = password('123456');
Query OK, 0 rows affected (0.03 sec)

관리자의 이름을 변경한 다음에 모든 유저 접근 차단하기

mysql> update mysql.user set user="myadmin" where user="root";

Query OK, 0 rows affected (0.01 sec)
Rows matched: 0  Changed: 0  Warnings: 0

4. 사용자 추가 명령문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디비 권한> TO sunny@localhost <사용자ID> IDENTIFIED BY 'win123 <패스워드>' WITH GRANT OPTION;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 TO
lala@localhost IDENTIFIED BY 'win123' WITH  GRANT OPTION;
Query OK, 0 rows affected (0.05 sec)
mysql> FLUSH PRIVILEGES;  ==> 설정 내용 로드
Query OK, 0 rows affected (0.00 sec)

mysql> delete from mysql.user where not (host="localhost" and user ="study");

==> 스터디라는 사용자를  제외한 모든 사용자를 지운다. 특별한 경우 아니고는 사용금지.

5. 일반 적인 삭제 방법

mysql> select host, user, password from user;   ==> 사용자정보출력
+-----------+------------+-------------------------------------------+
| host      | user       | password                                  |
+-----------+------------+-------------------------------------------+
| localhost | root       | *6BB4837EB74329105EE4568DDA7DC67ED2CA2AD9 |
| localhost | phpmyadmin | *387B36D01A7C5EC3AF24E860C269DAA274EF94EF |
| localhost | lala       | *DDC477F7A67434E2DA69BD5C6ED8109C84D91CE7 |
+-----------+------------+-------------------------------------------+
3 rows in set (0.02 sec)

mysql> delete from user where user = 'lala';  ==> 계정을 삭제한다.
Query OK, 1 row affected (0.06 sec)

mysql> delete from db where user = 'blog';  ==> 불로그라는 사용자의 디비 권한을 삭제한다.
Query OK, 0 rows affected (0.00 sec)

 6. 디비 추가 및 관리 명령

mysql> show databases;  ==> 등록중인 디비 리스트 출력
+--------------------+
| Database           |
+--------------------+
| information_schema |
| mysql              |
| phpmyadmin         |
+--------------------+
3 rows in set (0.03 sec)

mysql> use mysql;  ==> 디비 선택 이동
Database changed

mysql> select host, db, user from db; ==> 호스트 및 디비명 유저 정보 출력
+-----------+------------+------------+
| host      | db         | user       |
+-----------+------------+------------+
| localhost | phpmyadmin | phpmyadmin |
+-----------+------------+------------+
1 row in set (0.01 sec)

 mysql> select host, user, password from user;  ==> 계정이름 및 패스워드 정보 출력
+-----------+------------+-------------------------------------------+
| host      | user       | password                                  |
+-----------+------------+-------------------------------------------+
| localhost | root       | *6BB4837EB74329105EXXXXX7DC67ED2CA2AD9 |
| localhost | phpmyadmin | *387B36DZZZXXXC5EC3AFXXXXXDAA274EF94EF |
+-----------+------------+-------------------------------------------+
2 rows in set (0.06 sec)

일반 사용자로 로그인 해서 작업

C:\>mysql -h localhost -u sunny -p mysql
Enter password: *********************************

새로운 데이타베이스 생성하는 명령

mysql> create database dblist1;
Query OK, 1 row affected (0.05 sec)

mysql> create database dblist2;
Query OK, 1 row affected (0.00 sec)

mysql> flush privileges;
Query OK, 0 rows affected (0.01 sec)

테이블 삭제 및 디비 삭제 명령

mysql> drop table phpbb_cool;  ==> 해당 테이블 삭제
mysql> drop database dblist1;  ==> 해당 디비명 삭제
mysql> drop database dblist2;
Query OK, 0 rows affected (0.01 sec)

특정 데이타베이스에 admin 권한이 있는 다른 유저를 추가하기
mysql> GRANT SELECT, INSERT, UPDATE, DELETE, CREATE, DROP, INDEX, ALTER, CREATE
TEMPORARY TABLES, LOCK TABLES ON sunny_bbs.* TO
'sunny'@'localhost' IDENTIFIED BY '1234567';
Query OK, 0 rows affected (0.00 sec)

 


서버 호스트 네임 설정하기 <매우 중요>
C:\WINDOWS\system32\drivers\etc이라는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호스트 파일인 hosts파일을 문서편집기로 불러오세요.
아래는 제가 예제로 만든 겁니다.

=================================================================================
127.0.0.1       localhost
192.168.84.128 linuxsunny.pe.kr
192.168.84.128 sunny.linuxsunny.pe.kr
192.168.84.128 study.linuxsunny.pe.kr
192.168.84.128 
www.linuxsunny.pe.kr
192.168.84.128 webmail.linuxsunny.pe.kr
192.168.84.128 blog.linuxsunny.pe.kr
192.168.84.128 mp3.linuxsunny.pe.kr
192.168.84.128 
ftp.linuxsunny.pe.kr

==> 이 호스트네임을 지정하지 않으면 도메인서버를 이용해서 돌리는 방법이 있지만
그건 초보자들에게 어려운 입니다. 이렇게도 운영할수 있다는 점만 알아두시면 됩니다.

====================================================================================
C:\APM_Setup\Server\Apache\conf 디렉토리에 이동해서 httpd.conf이라는 설정파일을
편집한다. 가장 중요한 내용만 나열합니다.
==================================================================================================================

ServerRoot "C:/APM_Setup/Server/Apache"
#Listen 12.34.56.78:80
Listen 80

LoadModule actions_module modules/mod_actions.so
LoadModule alias_module modules/mod_alias.so
LoadModule asis_module modules/mod_asis.so
LoadModule auth_basic_module modules/mod_auth_basic.so
LoadModule authn_default_module modules/mod_authn_default.so
LoadModule authn_file_module modules/mod_authn_file.so
LoadModule authz_default_module modules/mod_authz_default.so
LoadModule authz_groupfile_module modules/mod_authz_groupfile.so
LoadModule authz_host_module modules/mod_authz_host.so
LoadModule authz_user_module modules/mod_authz_user.so
LoadModule autoindex_module modules/mod_autoindex.so
LoadModule cgi_module modules/mod_cgi.so
LoadModule dir_module modules/mod_dir.so
LoadModule env_module modules/mod_env.so
LoadModule include_module modules/mod_include.so
LoadModule info_module modules/mod_info.so
LoadModule isapi_module modules/mod_isapi.so
LoadModule log_config_module modules/mod_log_config.so
LoadModule mime_module modules/mod_mime.so
LoadModule negotiation_module modules/mod_negotiation.so
LoadModule rewrite_module modules/mod_rewrite.so
LoadModule setenvif_module modules/mod_setenvif.so
LoadModule status_module modules/mod_status.so
LoadModule unique_id_module modules/mod_unique_id.so
LoadModule userdir_module modules/mod_userdir.so
LoadModule vhost_alias_module modules/mod_vhost_alias.so
LoadModule log_rotate_module modules/mod_log_rotate.so

<IfModule !mpm_winnt_module>
User daemon
Group daemon

ServerAdmin sunny@linuxsunny.pe.kr
ServerName linuxsunny.pe.kr

<IfModule dir_module>
    DirectoryIndex index.php index.html index.htm
</IfModule>

<IfModule alias_module>
    # Redirect permanent /foo
http://www.example.com/bar
    # Alias /webpath /full/filesystem/path
    #ScriptAlias /cgi-bin/ "C:/APM_Setup/Server/Apache/cgi-bin/"
</IfModule>

<Directory "C:/APM_Setup/Server/Apache/cgi-bin">
    AllowOverride None
    Options None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Include conf/extra/httpd-mpm.conf

#Include conf/extra/httpd-modsecurity.conf

#Include conf/extra/httpd-multilang-errordoc.conf

Include conf/extra/httpd-autoindex.conf

Include conf/extra/httpd-languages.conf

Include conf/extra/httpd-userdir.conf

Include conf/extra/httpd-info.conf

Include conf/extra/httpd-php5.conf

Include conf/extra/httpd-alias.conf

Include conf/extra/httpd-vhosts.conf

#Include conf/extra/httpd-manual.conf

#Include conf/extra/httpd-dav.conf

Include conf/extra/httpd-default.conf

#Include conf/extra/httpd-ssl.conf

#### 빨강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매우 중요합니다. 즉 가상호스트하고 엘리어스 부분 및 인덱스 적용이 가능하게 하는 모률입니다. 저 설정 파일들은 따로 자신의 서버 상황에 맞게 수정해야 합니다.
================================================================================================================== 
이제 C:\APM_Setup\Server\Apache\conf\extra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나머지 설정파일을 편집합니다.
Include conf/extra/httpd-userdir.conf
========================================================================================================================== 
UserDir "web"
## 주 계정 사용자 디렉토리 ##
<Directory "C:/APM_Setup/users/*/web">
    AllowOverride FileInfo AuthConfig Limit Indexes
    Options MultiViews Indexes
SymLinksIfOwnerMatch IncludesNoExec
    <Limit GET POST OPTIONS>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Limit>
    <LimitExcept GET POST OPTIONS>
        Order deny,allow
        Deny from all
    </LimitExcept>
</Directory>

## 2차 계정 사용자 디렉토리 ##

<Directory "D:/HomeUser/*/web">
    AllowOverride FileInfo AuthConfig Limit Indexes
    Options MultiViews Indexes
SymLinksIfOwnerMatch IncludesNoExec
    <Limit GET POST OPTIONS>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Limit>
    <LimitExcept GET POST OPTIONS>
        Order deny,allow
        Deny from all
    </LimitExcept>
</Directory>

==========================================================================================================================
Include conf/extra/httpd-vhosts.conf
===================================================================================================================

NameVirtualHost *:80

<Virtualhost *:80>
 ServerAdmin
sunny@linuxsunny.pe.kr
 DocumentRoot "C:/APM_Setup/users/sunny/web"
 ServerName
www.linuxsunny.pe.kr
 ServerAlias main.linuxsunny.pe.kr
 #ThrottlePolicy Volume 300M 1d
 ErrorLog "logs/www.linuxsunny.pe.kr-error.log"
 CustomLog "logs/www.linuxsunny.pe.kr-access.log" common
</Virtualhost>

<Virtualhost *:80>
 ServerAdmin
sunny@linuxsunny.pe.kr
 DocumentRoot "C:/APM_Setup/users/study/web"
 ServerName study.linuxsunny.pe.kr
 ServerAlias main2.linuxsunny.pe.kr
 #ThrottlePolicy Volume 300M 1d
 ErrorLog "logs/study.linuxsunny.pe.kr-error.log"
 CustomLog "logs/study.linuxsunny.pe.kr-access.log" common
</Virtualhost> 

=================================================================================================================================== 
Include conf/extra/httpd-php5.conf
==============================================================================================
LoadModule php5_module "C:/APM_Setup/Server/PHP5/php5apache2_2.dll"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php .html
PHPIniDir "C:/APM_Setup"
=============================================================================================== 
Include conf/extra/httpd-autoindex.conf 
=================================================================================================
IndexOptions FancyIndexing HTMLTable VersionSort NameWidth=*
Alias /icons/ "C:/APM_Setup/Server/Apache/icons/"
<Directory "C:/APM_Setup/Server/Apache/icons">
    Options Indexes MultiViews
    AllowOverride None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AddDescription "GZIP compressed document" .gz
AddDescription "tar archive" .tar
AddDescription "GZIP compressed tar archive" .tgz
AddDescription "써니 문서 파일-웹 보관 파일" .mht
AddDescription "어도비 공식 포맷 문서" .pdf
AddDescription "MS 공식 문서 포맷 문서" .chm
AddDescription "winamp 전용 음악 파일" .ogg
AddDescription "미디어 플레이어 전용 음악 파일" .mp3
AddDescription "일반 텍스트 문서 파일" .txt
AddDescription "그림 파일" .jpg .gif .bmp
AddDescription "리눅스 팩키지 파일" .srpm .rpm .RPM .SRPM
AddDescription "MS 오피스 포멧 파일" .doc .ppt .xls
AddDescription "리눅스 전용 문서" .ps .PS
AddDescription "프로그램밍 소스 파일" .c .so .h
AddDescription "RAR 압축 파일" .rar
AddDescription "ZIP+ARJ 압축 파일" .zip .arj
AddDescription "그래픽 포맷 파일" .jpg .bmp .gif
ReadmeName README.html
HeaderName HEADER.html
IndexIgnore .??* *~ *# HEADER* README* RCS CVS *,v *,t
============================================================================================================
Include conf/extra/httpd-languages.conf
==================================================================================================
DefaultLanguage ko
AddLanguage en .en
AddLanguage ko .ko
AddLanguage kr .kr
LanguagePriority en ca cs da de el eo es et fr he hr it ja ko kr ltz nl nn no pl pt pt-BR ru sv tr zh-CN zh-TW
AddCharset ISO-2022-KR .iso2022-kr .kis
AddCharset KOI8  .koi8
AddCharset KOI8-E  .koi8-e
AddCharset KOI8-r  .koi8-r .koi8-ru
AddCharset KOI8-U  .koi8-u
AddCharset KOI8-ru .koi8-uk .ua
AddCharset UTF-8   .utf8
AddCharset euc-kr  .euc-kr
======================================================================================================
이 정도 파일만 이런식으로 편집하시면 가상호스트 구축이 가능합니다.
사용자 자신이 필요한 기능이 있다면 설정을 따로 불러와서 편집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솔직히 아파치 서버를 설치하고 사용하는게 중요한게 아니고
자기 자신이 설정파일을 얼마나 응용해서 서버기능을 높일려는 노력이 아주
중요하다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


XP에서 도메인서버를 운영할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주로 Linux에서 도메인을 세팅하거나 windows server계열에서 DNS서비스를 가지고
도메인을 세팅하거나 사용했는데 제가 사용하는 작업컴이 xp 아니면 7이기 때문에 여기에 맞는 DNS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되서 오랜만에 원도우 bind버전을 세팅하게 되었습니다.
밑에 그림하고 설정 파일 내용을 잘 보시면 이해가 가실겁니다.
이제 설치를 시작합니다.

Target Directory: BIND가 설치될 위치를 지정한다. (기본: C:\Windows\System32\dns)
Service Account Name: 서비스 계정 이름을 지정한다.
Service Account Password: 서비스 계정의 비밀번호를 지정한다.
Confirm Service Account Password: 서비스 계정의 비밀번호를 다시한번 입력한다.
Automatic Startup: Windows 기동 시 자동으로 기동 될지를 설정한다.
Keep Config Files After Uninstall: 후에 BIND가 삭제되더라고 Config Files는 남기는지 설정한다.
Start BIND Service After Install: Install후에 BIND Service를 시작하는지 물어 본다.

아래처럼 bind9 디렉토리 연결 실행을 위해서 PATH를 추가 선언해 준다.
밑에 그림 잘 보시고 따라해 보시면 됩니다.

===============================================================================================
etc/named.conf 을 작성한다.
===============================================================================================

options {
directory "C:\BIND9\etc";
};

controls {
inet 127.0.0.1 allow { localhost; } keys { rndc-key; };
};

zone "." IN {
type hint;
file "named.ca";
};

zone "localhost" IN {
type master;
file "localhost.zone";
allow-update{none;};
};

zone "linuxsunny.pe.kr" IN {
type master;
file "linuxsunny.zone";
allow-update { none; };
};

zone "0.0.127.in-addr.arpa" IN {
type master;
file "named.local";
allow-update{none;};
};

zone "84.168.192.in-addr.arpa" IN {
type master;
file "linuxsunny.rev";
allow-update { none; };
};

include "C:\BIND9\etc\rndc.key";

=========================================================================================================
etc/named.ca 을 작성한다.
===============================================================

; This file holds the information on root name servers needed to
; initialize cache of Internet domain name servers
; (e.g. reference this file in the "cache . <file>"
; configuration file of BIND domain name servers).
;
; This file is made available by InterNIC
; under anonymous FTP as
; file /domain/named.cache
; on server
FTP.INTERNIC.NET
; -OR- RS.INTERNIC.NET
;
; last update: Jun 17, 2010
; related version of root zone: 2010061700
;
; formerly NS.INTERNIC.NET
;
. 3600000 IN NS A.ROOT-SERVERS.NET.
A.ROOT-SERVERS.NET. 3600000 A 198.41.0.4
A.ROOT-SERVERS.NET. 3600000 AAAA 2001:503:BA3E::2:30
;
; FORMERLY NS1.ISI.EDU
;
. 3600000 NS B.ROOT-SERVERS.NET.
B.ROOT-SERVERS.NET. 3600000 A 192.228.79.201
;
; FORMERLY C.PSI.NET
;
. 3600000 NS C.ROOT-SERVERS.NET.
C.ROOT-SERVERS.NET. 3600000 A 192.33.4.12
;
; FORMERLY TERP.UMD.EDU
;
. 3600000 NS D.ROOT-SERVERS.NET.
D.ROOT-SERVERS.NET. 3600000 A 128.8.10.90
;
; FORMERLY NS.NASA.GOV
;
. 3600000 NS E.ROOT-SERVERS.NET.
E.ROOT-SERVERS.NET. 3600000 A 192.203.230.10
;
; FORMERLY NS.ISC.ORG
;
. 3600000 NS F.ROOT-SERVERS.NET.
F.ROOT-SERVERS.NET. 3600000 A 192.5.5.241
F.ROOT-SERVERS.NET. 3600000 AAAA 2001:500:2F::F
;
; FORMERLY NS.NIC.DDN.MIL
;
. 3600000 NS G.ROOT-SERVERS.NET.
G.ROOT-SERVERS.NET. 3600000 A 192.112.36.4
;
; FORMERLY AOS.ARL.ARMY.MIL
;
. 3600000 NS H.ROOT-SERVERS.NET.
H.ROOT-SERVERS.NET. 3600000 A 128.63.2.53
H.ROOT-SERVERS.NET. 3600000 AAAA 2001:500:1::803F:235
;
; FORMERLY NIC.NORDU.NET
;
. 3600000 NS I.ROOT-SERVERS.NET.
I.ROOT-SERVERS.NET. 3600000 A 192.36.148.17
I.ROOT-SERVERS.NET. 3600000 AAAA 2001:7FE::53
;
; OPERATED BY VERISIGN, INC.
;
. 3600000 NS J.ROOT-SERVERS.NET.
J.ROOT-SERVERS.NET. 3600000 A 192.58.128.30
J.ROOT-SERVERS.NET. 3600000 AAAA 2001:503:C27::2:30
;
; OPERATED BY RIPE NCC
;
. 3600000 NS K.ROOT-SERVERS.NET.
K.ROOT-SERVERS.NET. 3600000 A 193.0.14.129
K.ROOT-SERVERS.NET. 3600000 AAAA 2001:7FD::1
;
; OPERATED BY ICANN
;
. 3600000 NS L.ROOT-SERVERS.NET.
L.ROOT-SERVERS.NET. 3600000 A 199.7.83.42
L.ROOT-SERVERS.NET. 3600000 AAAA 2001:500:3::42
;
; OPERATED BY WIDE
;
. 3600000 NS M.ROOT-SERVERS.NET.
M.ROOT-SERVERS.NET. 3600000 A 202.12.27.33
M.ROOT-SERVERS.NET. 3600000 AAAA 2001:DC3::35
; End of File
========================================================================================================
etc/localhost.zone 을 작성한다.
========================================================================================================

$TTL 86400
@ IN SOA @ root (
42 ; serial (d. adams)
3H ; refresh
15M ; retry
1W ; expiry
1D ) ; minimum

IN NS @
IN A 127.0.0.1
IN AAAA ::1

========================================================================================
etc/linuxsunny.zone 을 작성한다.
=======================================================================================================

$TTL 86400
@ IN SOA linuxsunny.pe.kr. master.linuxsunny.pe.kr. (
2004091000 ; serial (d. adams)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y
86400 ) ; minimum

IN NS localhost.
IN NS ns.linuxsunny.pe.kr.
IN NS ns1.linuxsunny.pe.kr.
IN NS linuxsunny.pe.kr.
; ★★★★★★★★★★★★★★★★★★★★★
; ★★★★★ 주 메인 네임 부분 ★★★★★★
; ★★★★★★★★★★★★★★★★★★★★★
@ IN A 192.168.84.128
www IN A 192.168.84.128
mail IN A 192.168.84.128
;* IN A 192.168.84.128
ftp IN A 192.168.84.128
webmail IN A 192.168.84.128
; ★★★★★★★★★★★★★★★★★★★★★
; ★★★★ 가상 호스트 네임 부분 ★★★★★
; ★★★★★★★★★★★★★★★★★★★★★
; ▣ PHPBB 토크 게시판 폐이지 ▣
sunny.linuxsunny.pe.kr. IN A 192.168.84.128
bbs.linuxsunny.pe.kr. IN A 192.168.84.128
; ▣ ▣
mp3.linuxsunny.pe.kr. IN A 192.168.84.128
media.linuxsunny.pe.kr. IN A 192.168.84.128
; ▣ Sunny Main Blog Page ▣
blog.linuxsunny.pe.kr. IN A 192.168.84.128
; ▣ ▣
study.linuxsunny.pe.kr. IN A 192.168.84.128
wiki.linuxsunny.pe.kr. IN A 192.168.84.128

========================================================================================================
etc/named.local 을 작성한다.
===============================================================

$TTL 86400

@ IN SOA localhost. root.localhost. (
1997022700 ; Serial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IN NS localhost.

1 IN PTR localhost.

===============================================================
etc/linuxsunny.rev 을 작성한다.
==========================================================================================================

$TTL 86400
@ IN SOA ns.linuxsunny.pe.kr. root.linuxsunny.pe.kr. (
1997022700 ; Serial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IN NS ns.linuxsunny.pe.kr.

128 IN PTR linuxsunny.pe.kr.
===========================================================================================================

이제 Windows Services를 통해서 ISC BIND 데몬를 시작한다.
시작하기 전에 혹시 에러가 생기면 일반탭 옆에 로그온을 클릭하셔서 로컬계정을 클릭하시고 실행하시면
에러가 나지 않을 겁니다.
그냥 네임아이디를 설정해서 사용해도 상관 없지만 만약에 에러가 나는 분들이 있다면 바꾸어서 해 보라는 얘기 입니다.

이런식으로 XP나 7에서 도메인서버를 운영할수 있습니다.
성공하시길 빌어요 ^^


XP를 서버로 운영하는 사람에게 매우 중요한 서비스라고 할수 있습니다.
몰론 VNC서버를 설치해서 VNC클라이언트로 접속해서 사용해도 가능하지만
저같은 사람은 주로 이 원격 web서비스를 많이 사용합니다.
좀 문제는 보안적인 부분에 신경을 많이 써야 된다는게 아쉽긴 하지만 그래도
편합니다. 재미삼아서 여러분도 한번 사용해 보세요.
제가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밑에 그림에 제가 설명글을 표시해 두어서 이해가 가실겁니다.
차근차근 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런식으로 다른 컴에서 직접 제어가 가능하다.
xp를 서버로 구축해서 사용하는 저같은 사람에게는 중요한 서비스라고 할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네이트온이나 원격제어 도구을 사용하는 방법하고 많이 비숫하지만 이건
web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라는 것을 알아주세요.

IE7-8에서 RDP 원격 프로토콜 에러에 대한 해결 방법

기본적으로 원격접속을 한다는건 보안적으로 취약성을 허용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작업을 해야 한다. MS사는 원격 프로토콜인 RDP를 허용하지 않게 세팅했기 때문에 IE7-9버전에서는 프로토콜이 설치되지 않는다.
그렇다고 서버 관리를 하는 관리자가 비상시 서버를 원격에서 제어를 해야하는 상황이 있기 때문에 웹에서 원격 관리를 하는 방법은 필이 알고 있어야 된다고 나는 생각한다.
지금 밑에 그림을 보면 연결부분에 체크표시가 안되고 있는걸 보고 있는 것이다.왜냐하면 프로토콜인 RDP가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인터넷에 보면 많은 사람들이 레지스터 편집기를 열어서 해당 키를 지우고 재 시작해서 설치하면 된다고 나오는데 실제로 해결되지 않았다.

추가관리도구가 에서 열어 주어야 한다고 계속나오는데 이 부분이 나오지 않아야 한다.
나온다는 것은 설치에 무엇인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일단 해결 방법은 도구 옵션에 들어가서 고급에 기본설정 복구에 원래대로를 실행해서 초기 설정 상태로 다시 설정을 할수 있겠끔 해 주어야 한다.

익스플로러를 다시 실행하면 설정 마법사가 실행되면서 아래처럼 피싱 필터 설정 부분이 나온다.
여기서 자동 필터를 해재한다.

다음에 보안부분에 인터넷 수준을 보통으로 설정하고 확인한다.

개인 정보에서 영역을 보통으로 하고 팝업 차단을 사용을 해재 한다.

그 다음에 원격 서버 주소를 치고 들어가서 보면 아까하고 다르게 연결부분에 불이 들어오는걸 볼수 있을 것이다.이것은 이미 RDP가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다는 의미 이다.

이런식으로 세팅해서 원격에서 관리해 주면 되지만 왼만하면 이 원격 관리는 사용하지 않는게 좋을 것이다.
그만큼 보안적으로 약화 되기 때문에 해킹을 당할 우려가 높아진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그렇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안적인 지식이 많이 알고 있는 전문가가 아니면 해결하기 힘든다는 점을 알고 있어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