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라는 사실은 알고 계세요.
저는 역시 VM웨어를 사용해서 설치해 보겠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버전은 2버전입니다.
일단 부팅하면 boot라는 프롬프트가 뜨는데 엔터 치세요. 즉 일반 모드로 설치한다는 의미입니다.
두번째는 text모드에서 한다는 의미입니다.
파티션에 대한 설정 부분이 나옵니다. 여기서 여러분이 사용하는 하드디스크 사양을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밑에 그림처럼 여러분이 생성해 주시면 됩니다.
중요한건 /boot + / + swap 스왑메모리 이 3개는 꼭 생성하셔야 합니다. 이건 기본입니다.
몰론 임의로 따로 설정하는 법이 있지만 그렇게 많이 생성하면 불안하고 관리하기도 어렵습니다.
보통 저같은 경우는 /boot + / + /home + /usr + swap 이렇게 5개로 나누어서 작업을 하지만
초보자들의 경우는 3개만 설정해도 무난 합니다.
파티션이 마무리 되면 저장하고 나오면 됩니다.
밑에 그림은 IP에 대한 네트워크 설정 입니다.
보통 IPV4를 많이 사용하므로 그걸 선택하면 됩니다.
만약 IPV6도 사용하시길 원한다면 다 선택하셔도 됩니다.
지금 저는 vm웨어에서 그냥 설치하는 거라서 dhcp로 받아서 하겠습니다.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왜냐하면 나중에 네트워크는 설정에서 고정IP로 변경해 주면
그만입니다.
구지 여기서 할 필요는 없지만 보통 사용자들 중에 고정IP를 쓰는 분은 일부분입니다.
거의 동적IP를 많이 사용하므로 이걸로 하시면 됩니다. ^^
자동 DHCP로 부분을 선택하고 ok를 누룹니다.
관리자인 root 암호에 대한 설정 입니다.
여러분이 원하는 암호를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팩키지 설치 과정이 들어갑니다.
모든 설치 과정이 끝나면 시스템이 재부팅 하면서 아래처럼 부팅과정이 나옵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방금전에 설정한 루트 암호로 로그인해서 작업하면 됩니다.
여기 까지 입니다. 솔직히 수리눅스는 아주 가볍고 서버로 사용하기에는 그만이지만
문제가 라이브러리의 의존성 문제나 호환성이 좀 많이 부족합니다.
그렇지만 저 사양 컴퓨터를 가지고 서버공부하실 분이라면 아주 좋습니다. ^^
'🌟2017년 이전 포스팅 모음 🌟 > 💞Linux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eeBsd 8 System 설치와 초기 설정 방법 (0) | 2011.05.19 |
---|---|
Red Hat Enterprise AS5 설치와 기본설정 방법 (0) | 2011.05.18 |
CentOS 5.6 네트워크 설치와 기본 설정 방법. (0) | 2011.05.16 |
Solaris 10 설치와 기본 설정 방법 (0) | 2011.05.16 |
MYSQL 소스 설치법 (0) | 2011.05.14 |